관향(貫鄕)의 연혁(沿革)
연안(延安)은 황해도(黃海道)에 위치하는 지명(地名)으로 고구려(高句麗) 때 동음홀(冬音忽) 또는 고염성(鼓鹽城) 이라 부르다가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에 해고군(海皐郡), 고려(高麗)에서는 염주(鹽州), 영응현(永應縣), 복주(復州), 석주(碩州), 온주(溫州) 등으로 불렀어요. 충선왕(忠宣王 26대 왕) 때 연안부(延安府)로 고쳤다가 1895년 군(郡)이 되었으며 1914년 백천군(白川郡)과 합하여 연백군(延白郡)이 되었답니다. 연안(延安)을 단본(單本)으로 하는 차씨(車氏)는 고대(古代) 중국(中國)의 명군(名君)인 황제(黃帝)의 후예랍니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우리나라 차씨(車氏)의 연원(淵源)은 황제의 후손 사신갑(似辛甲)이 중국에서 고대조선(古代朝鮮)으로 망명하여 평양(平壤) 일토산(一土山) 아래에 정착하여 살며 왕조명(王祖明)으로 변성명하였고 그 후손 왕몽(王蒙)이 정치적 화(禍)를 피하기 위하여 전(田), 신(申) 등으로 개성(改姓) 하였다가 후에 차무일(車無一)로 변성명하여 차씨(車氏)의 시원(始源)을 이루게 되었어요. 신라(新羅) 초기에 승상(承相)을 지냈던 차무일(車無一)의 아들 8형제중 일곱째 차신을(車神乙 : 본명 王林)이 차씨(車氏)의 성(姓)을 계승하여 후손대에서 25명의 승상(承相)이 배출되어 명문대가(名門大家)의 기틀을 다졌습니다.
차무일(車無一)의 32세손 차건신(車建申)의 아들 차승색(車承穡)은 신라 애장왕(哀莊王 : 제 40대왕)의 서삼촌(庶三寸) 김언승(金彦昇 : 현덕왕)이 난을 일으켜 왕을 시해하고 왕위를 찬탈하자 아들 공숙(恭叔)과 함께 전왕(前王)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헌덕왕(憲德王)을 암살하려다가 사전에 발각되자 황해도 유주(黃海道儒州 : 현 신천군 문화면)로 달아나 숨어살며 조모(祖母 : 조부는 승상,儉夫)의 성(姓)인 양씨(楊氏)를 모방하여 류씨(柳氏)로 변성하고 자기 이름을 류환(柳桓)으로 아들 공숙(恭叔)은 류숙(柳叔)으로 개명하였어요.
그의 6세손 류차달(柳車達)의 아들 대(代)에서 류씨(柳氏)와 차씨(車氏)로 갈라졌어요. 대승공(大丞公) 류차달(柳車達 : 본명은 柳海)은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이 남정(南征)하여 후백제(後百濟)를 칠 때 부호로서 그가 수레 천 대를 만들고 창고에 있던 양곡을 실어 군량미로 보급하여 줌으로서 왕건이 후삼국(後三國) 통일(統一)의 위업을 달성하는데 크게 공헌하였답니다. 태조 왕건(太祖王建)이 그의 공로를 치하하며 벽상2등공신(璧上二等功臣)으로 대승(大丞)에 봉작하고 이름도 차달(車達)로 하사(下賜)하였습니다.
그 후 대승공 차달의 아들 형제 중 장남 효전(孝全)에게는 " 차씨(車氏)의 홍렬은 잊을 수 없다." 하며상조(上祖)의 본성(本姓)인 차씨(車氏)의 성(姓)을 잇게 하고 식읍(食邑)을 하사하면서 대광백(大匡伯) 연안군(延安君)에 봉했으며 차남 효금(孝金)은 소윤(小尹)의 벼슬과 문화군(文化君)에 봉하여 류씨(柳氏)의 성을 계전하도록 하였어요. 가문을 빛낸 대표적인 인물로는 직사관(直史舘) 거수(擧首)의 아들 약송(若松)이 고려 신종(神宗) 때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와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중서평장사(中書平章事)에 이르렀으며 병마사(兵馬使) 덕위(德威)의 아들 척(倜)이 고종(高宗) 때 어사대부(御使大夫)와 참지정사를 역임하여 가세(家勢)를 일으켰습니다.
'나의 조상 -연안차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안차씨 가훈 (0) | 2021.12.22 |
---|---|
문절공(文節公) 차원부(車原頫) 외 (0) | 2021.12.22 |
시조편 강촌(江村) 차효전(車孝全) (0) | 2021.12.22 |
연안차씨 찬가 (0) | 2021.12.21 |
연안차씨 유래 (0) | 2021.12.21 |